정부가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수출 전략사업으로서의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육성을 위해 수출 구조와 체질을 개선하고 수출 영토를 확장한다.
또 한류 마케팅 등 범부처 협업을 강화하는 한편, 대·중소기업 협업 수출 모델을 발굴하는 등 민간 투자와의 협업도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케이-푸드 플러스란 농식품(K-Food)에 지능형농장(스마트팜) 등 전후방산업을 포함(+)한 것으로, 수출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지난해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농식품과 전후방산업의 수출산업화를 추진한 결과,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농식품 수출 8년 연속 성장, 스마트팜 대형 수주 등 전후방산업 수출 기반 마련, 한-인니 정상회담 계기 할랄시장 진출 기반 마련 등의 성과로 수출 전략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에서 ‘10대 전략 수출산업으로 도약하는 케이-푸드 플러스’라는 비전 아래 올해 케이-푸드 플러스 135억 달러, 오는 2027년까지 230억 달러를 수출 목표로 설정했다.
먼저, 수출 업체에 물류비를 지원해 오던 수출 구조를 수출 조직이 자생력과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개편하고 품질 관리, 공동 마케팅 등 수출 조직 역량을 강화한다.
국내부터 해외 판매지까지 수출의 모든 단계에 걸친 신선농산물 특화 물류체계도 구축한다. 저온 시설이 부족한 국내 선별장, 항만·공항 근처에 저온창고·차량, 특수 포장재 등 지원을 늘리고 중국, 베트남 등 6개국에 지원하고 있는 해외 콜드체인은 2027년까지 12개국으로 확대한다.
대기 환경 조절을 통한 신선도 유지 기술인 CA 모델도 신선농산물 유통 구조에 맞도록 구축한다. 항공에서 선박으로 물류체계 전환이 필요한 딸기, 버섯 등은 이동형 CA 컨테이너 지원을 확대하고 장기 저장이 필요한 배, 포도는 산지에 고정형 CA 시설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독일 함부르크, 미국 시카고 등 세계 20위 내 공항·항만을 중심으로는 해외물류센터 이용 지원을 늘리는 한편, 지난해 시범으로 추진했던 딸기 공동포워딩을 배, 파프리카 등으로 확대한다.
공동포워딩은 수출통합조직이 전체 수출 물량 대상 운송사와 일괄적으로 운임 협상하는 것을 일컫는다. 딸기 공동포워딩 운영 결과, 운임 21% 절감하는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케이-푸드 플러스의 수출 영토 확장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중동·중남미·인도 등 3대 신시장 개척을 위해 케이-푸드 페어 개최 등 마케팅을 강화하고 농협, 코트라 등 해외조직과 연계해 시장정보 조사를 추진한다. 할랄인증 상호인정협약은 현재 7개국에서 9개국으로 늘리는 등 할랄시장 진출도 적극 지원한다.
검역협상이 수출 성과로 이어지도록 전략적 수출 검역도 추진한다. 유망 협상품목 발굴 등을 위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농식품 수출검역협상 로드맵’을 마련해 활용토록 한다.
농식품부는 타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한류 기반 마케팅을 확대하고 온라인에서 새로운 수출 기회를 모색할 방침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협업을 통해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를 활용해 우수 수출 제품을 홍보하고 UAE에 범부처 연계 해외홍보관을 설치한다.
해양수산부와의 협업으로 케이-푸드 페어, 해외 안테나숍 등을 추진하는 한편, 유명 박람회에 통합 케이-푸드 플러스 통합한국관을 구성하고 케이-푸드 로고 해외 상표 등록을 확대하는 등 홍보를 다각화하기로 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는 ‘통상환경 대응 협력체계’를 구성, 특허청과는 케이-푸드 모방제품 근절을 위해 대응해 나간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 수출과 수출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 지원을 비롯해 전후방산업 수출 경쟁력도 강화한다.
특히 스마트팜의 경우 중동 등 수출 유망국가에 시범 온실을 조성하고 중점지원무역관을 지정하는 등 거점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농기자재는 유럽, 아프리카 등으로의 시장 다변화와 신시장 개척을 위해 수출국 인허가 취득, 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고 동물약품은 수출용 GMP(의료기기 품질관리 기준) 신설에 중점을 두고 수출 잠재력이 높은 신시장 발굴을 지원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케이-푸드 열풍, 세계 교역량 회복 등을 기회로 삼아 올해 수출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케이-푸드 플러스가 세계 시장을 선도해 나가는 주력 수출산업이 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민·관 협력, 부처 간 협력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