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이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약 21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이번 쌀 생사 지원사업은 벼 육모상자처리제, 벼 병해충본답방제 등 약제공급과 항공방제 대행료 등의 항목으로 구성됐다.
하동군이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을 해소하고 고품질 쌀 생산을 지원하고자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올해는 육묘용 우량상토 지원을 시작으로 벼 육묘상자처리제, 벼 병해충 본답방제 약제를 공급하고 항공방제 대행료를 2회까지 확대 지원하고 있다.
◇ 육묘용 우량상토 지원 = 민선 8기에 들어서 하동군은 벼 육묘용 우량상토에 기존 예산보다 1억 1천4백만 원을 증액한 4억 1천4백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시판상토와 육묘매트 구매비용 지원 단가를 ㏊당 7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늘려 산흙 1096㏊ 2410톤, 시판상토 2518㏊ 8만 3184포, 육묘매트 131ha 3만 9408매로 총 3745㏊의 우량상토를 공급하였다.
이는 산흙 공급량이 점차 줄어들고 시판상토·육묘매트의 수요가 늘어나 공급 물량의 70.7%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에 적합한 조치로, 농가 경영비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벼 육묘상자처리제 = 벼 병해충의 사전 방제를 위해 벼 육묘상자처리제에도 4억 9천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량을 무상으로 공급하고 있다.
상자처리제는 모판을 1회 처리해 주요 병해충을 종합적으로 예방․방제하는 약제로, 발병 후 방제가 불가능한 흰 잎마름병·줄무늬 잎마름병 예방은 물론 벼물바구미․애멸구 등과 같은 해충 방제도 가능하여, 한 해 농사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파종 동시 처리 또는 이앙 당일 모판 처리로 약효의 지속 기간이 90일~120일까지이며, 후기 기상 상태가 양호하면 본답에서 1회 추가 방제로도 벼 병해충 예방이 가능해 노동력과 영농비용 절감 효과도 매우 큰 약제이다.
군은 약제 구매 시 대농뿐만 아니라 중·소농을 포함한 전 농가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난해 약제 선정 방식도 개선했다. 구매에 앞서 전 농가의 선호도를 조사하고, 복수의 약제 입찰을 진행해 농가에서 구매를 희망하는 모든 약제를 공급받았다.
이를 통해 읍면별로 1~2종류의 약제만 제공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농가별·지역별로 영농방법에 맞는 약제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 농가의 긍정적인 방법을 얻고 있다.
◇ 벼 병해충 본답방제 = 하동군은 기상이변으로 인한 병해충 발생 양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벼 병해충 본답방제 지원을 대폭 확대했다.
지난해 예산보다 6억 5천7백만 원 증액한 12억 4천5백만 원을 편성해 3816㏊의 벼 재배면적에 2회에 걸친 공동방제를 추진하였다.
1차 방제는 전체 벼 재배면적에 무상으로 실시하고, 2차 방제는 중·소농과 대농의 균형 잡힌 지원을 위해 농가당 경작면적 4㏊까지 공동으로 방제하고 초과 면적은 자부담으로 진행한다.
관내 4㏊ 이상 경작 농가는 117 농가로 전체 수도작 농가(4817개소)의 2.4%에 달하며, 2024년 하동군 벼 병해충 본답방제 사업 면적은 일반방제 197㏊, 항공방제 3596㏊ 총 3793㏊이다.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추진하는 본답방제 지원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약제를 선정하고, 병해충 발생 상황 및 전망의 신속한 파악과 체계적인 예찰을 통해 적기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군에 따르면 항공방제는 방제업체 선정부터 방제작업 지시·감독까지 농가의 관심이 매우 중요하며, 단위 면적당 약의 사용량을 준수해 약제가 작물에 충분히 묻을 수 있도록 살포하고 방제 수칙을 준수해 약해를 입지 않게 하는 등 많은 주의를 요한다.
하동군은 올해 특히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와 폭염으로 고품질 쌀 생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돌발 병해충에 대한 선제적 방제를 위해 1차 방제는 7월 초, 2차 방제는 8월 초에 실시할 예정이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2회에 걸친 벼 병해충 방제 농약 지원과 동시 공동방제를 통해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여 고품질 쌀 안정생산과 농업인 일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하동군의 이러한 노력은 친환경 농업의 기반을 공고히 하고 지역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