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예상보다 빠르게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2024년 12월 23일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0%를 차지했다. 이는 유엔(UN)이 정의한 초고령 사회의 기준인 65세 이상 인구 비율 20%를 넘어선 것이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다. 2000년 고령화 사회(7%), 2017년 고령 사회(14%)를 거쳐 불과 7년 만에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이는 일본(11년)보다도 빠른 속도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고령화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35년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30%를 넘어서고, 2050년에는 40%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2072년에는 총인구의 절반가량이 노인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러한 급격한 고령화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노동력 감소로 인한 경제 성장률 하락이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22년 3674만 명에서 2072년 1658만 명 수준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노인 부양 부담의 급증도 우려된다. 2072년에는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인구가 118.5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금과 의료보험 제도의 지속가능성도 위협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2055년경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며, 의료비 증가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악화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불어 노인 빈곤과 자살 문제도 심각하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40.4%)과 자살률은 OECD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OECD 평균의 두 배 이상이다. UN의 인구전망에 따르면, 한국은 2046년부터 일본을 넘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고령인구 비중을 기록하게 되며, 2062년에는 홍콩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암울한 전망 속에서 정부와 사회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노인 일자리 창출, 연금 제도 개혁, 의료 및 돌봄 서비스 확충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