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강우 의원 “읍·면·동 활성화로 지역 자치 실현을”

제141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 5분 발언...‘예산 편성 자율권’ 등 제안

박강우 창원시의원(비례대표)은 14일 열린 제141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창원시 55개 읍·면·동 활성화’를 주제로 5분 발언에 나섰다.


▲ 박강우 창원시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


박 의원은 읍·면·동이 민원 처리나 행정 기능 수행만으로 그칠 게 아니라,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진정한 지역 자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우선 박 의원은 “창원시는 읍·면·동에서 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예산을 배정하고, 예산 편성의 자율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읍·면·동에서 주민에게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그에 필요한 예선을 편성해 사업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주민에게 공유하면 행정에 대한 신뢰도가 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박 의원은 각 읍·면·동의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실현해야 한다고 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노인 비율이 높은 마산지역에서는 노인 복지에 중점을 두고, 창원지역은 청소년·청년에 초점을 맞춰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각 읍·면·동에서 해당 지역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위한 맞춤형 스토리텔링이나 시설 개선, 상인 교육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박 의원은 “읍·면·동 활성화는 행정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지역 공동체 형성, 주민 역량 강화, 지역 정체성 재정립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강우 창원시의원의 5분 발언은 지역 자치와 주민 참여를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창원시 55개 읍·면·동이 단순히 행정 기능을 수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예산 편성 자율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의 제안은 최근 지방자치와 주민 참여 확대 흐름과 맥을 같이한다. 행정안전부는 2024년부터 '주민참여예산제'를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민들이 직접 지역 예산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러한 정책적 흐름을 창원시 읍·면·동에 적용해 주민 주도의 지역 발전을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각 읍·면·동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예를 들어,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마산 지역에서는 노인 복지에 중점을 두고, 청소년과 청년 인구가 많은 창원 지역에서는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창원복지재단이 추진 중인 '지역 기반 맞춤형 복지시책 개발'과도 맥을 같이하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복지 정책이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박 의원은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상권별 스토리텔링 개발, 시설 개선, 상인 교육 등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주민들과 외부 방문객 간의 소통 기회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창원시가 추진 중인 '전통시장 특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과 같은 사업과 연계될 가능성이 크다.

[경남포스트]한주희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