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의원 “창원형 주거 뉴딜정책 필요”

제141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 5분 발언...“생활SOC 결합 등 주거환경 조성”

김영록 창원시의원(가음정, 성주동)은 14일 청년의 유출을 막고 정주 여건을 강화하기 위해 ‘창원형 주거 뉴딜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 김영록 창원시의원(국민의힘, 가음정.성주동)


김 의원은 이날 제141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했다. 주거 환경 개선과 주거복지 실현을 위해 △지역맞춤형 생활SOC △테마형 공공주택 △친환경 리모델링 방안 등을 제안했다.


먼저 김 의원은 공공임대 여유 공간에 돌봄·육아 등 사회서비스를 결합해야 한다고 했다. 또 산업단지나 대학 등에 주택과 지원시설을 연계해 매력적인 주거 환경을 조성하고, 농촌지역에는 관광·휴양·산업 등을 결합한 공공주택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재활용이 가능한 철골 구조를 활용해 건설 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모듈러 주택 공법의 적용을 확대해 나갈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 정책에 따라 세종 행복주택, 경기 행복주택 등에 모듈러 주택이 공급된 사례가 있다.


김 의원은 “이제는 주택의 개념을 단순히 개인의 삶을 영위하는 공간을 넘어 복지서비스와 생활SOC, 일자리 등이 결합된 플랫폼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후화된 주거 환경 개선과 주거 복지 실현을 위한 인구 및 사회적인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발전과 주택계획에 대한 방안을 도출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영록 창원시의원의 5분 발언은 창원형 주거 뉴딜정책을 통해 청년 유출을 막고 정주 여건을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주거 환경 개선과 주거복지 실현을 위해 △지역맞춤형 생활SOC △테마형 공공주택 △친환경 리모델링 방안 등을 제안하며, 현대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 조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특히 공공임대 여유 공간에 돌봄·육아 등 사회서비스를 결합하고, 산업단지 및 대학 주변에 주택과 지원시설을 연계해 매력적인 주거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는 정부가 추진 중인 생활SOC 복합화 사업과도 맥을 같이하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이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그는 재활용이 가능한 철골 구조를 활용한 모듈러 주택 공법의 확대를 제안하며, 건설 폐기물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주택 공급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듈러 공법은 기존 건설 방식 대비 탄소 배출량을 평균 20% 이상 감축할 수 있으며,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혁신적 건설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세종 행복주택과 경기 행복주택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모듈러 공법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김 의원은 "주택은 단순히 개인의 삶을 영위하는 공간을 넘어 복지서비스와 생활SOC, 일자리 등이 결합된 플랫폼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며, "노후화된 주거 환경 개선과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인구 및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발전과 주택계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창원시는 이러한 제안을 바탕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복지서비스와 지속 가능한 주거 정책을 마련하여 청년 유출 방지와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의 발언은 창원시가 미래 지향적이고 혁신적인 도시 모델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경남포스트]한주희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