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영석 의원 ‘순환경제사회’ 전환 기틀 마련

창원시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 조례 제정...“순환자원사용 제품 우선”

창원특례시의회 심영석 의원(웅천, 웅동1·2동)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고, 폐기물 발생 억제를 유도해 순환 경제사회로 전환을 촉진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심영석 창원시의원(더불어민주당, 웅천.웅동1.2동)


심 의원이 발의한 ‘창원시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 조례안’이 제141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가결됐다.


조례는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사회를 조성하는 데 이바지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창원시가 순환경제사회로 전환을 촉진하고자 시민이나 관련 단체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홍보 근거를 규정했다.


특히 창원시가 환경부의 품질인증을 받은 ‘순환자원사용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또한, 산하 공기업이나 출자·출연기관 등에도 순환자원사용제품 우선 구매를 권장할 수 있게 했다.


심영석 의원은 “조례는 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도해 궁극적으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사회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며 “자원 순환 체계를 강화해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영석 창원시의원이 발의한 ‘창원시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 조례안’은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과 환경 보호를 위한 중요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조례는 자원의 효율적 재활용과 폐기물 발생 억제를 통해 순환경제사회를 촉진하고, 환경부 품질인증을 받은 순환자원사용제품 우선 구매를 명문화하여 창원시가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순환경제사회로의 전환은 단순히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연합(EU)의 순환경제 액션플랜은 제품 설계 단계부터 재활용 가능성을 고려하고, 디지털 제품 여권을 도입해 자원의 추적성과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창원시가 순환경제를 통해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모델로 참고할 만하다.


또한, 이번 조례를 통해 시민과 관련 단체를 대상으로 한 교육·홍보 활동 역시 가능해질 예정이다. 이는 순환경제의 성공적인 정착에 필수적인 요소로, 소비자와 기업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뉴욕, 런던 등 글로벌 도시들이 순환도시 시스템 구축과 스마트 그린도시 프로젝트를 통해 자원 순환 체계를 강화하고 있는 점 역시 창원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경남포스트]김태원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