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동1지구 개발사업 정상화를 위한 특별위원회(위원장 김순택, 이하 특위)는 지난 15일 오전 경남도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경남개발공사와의 정책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간담회는 특위의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웅동1지구 개발사업의 추진상황에 대한 보고와 질의응답 시간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특위위원 12명과 경남도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경남개발공사 등 18명이 참석하였다. 간담회에 참석한 위원들은 웅동1지구 개발사업의 문제점 및 쟁점사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이어갔다.
김순택 위원장은 “이번 특위활동은 과거 드러났던 문제들에 머무르기보다는 현 상황에서 웅동지구 개발사업의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인 쟁점을 정리하고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이번 정책간담회가 사업정상화에 대한 다각적인 방안을 함께 고민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웅동지구 정상화 특별위원회는 향후 활동계획서 채택 등을 거쳐 본격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경남도의회 웅동1지구 개발사업 정상화 특별위원회의 정책간담회는 사업 추진 과정의 난항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논의의 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간담회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과 경남개발공사, 경남도청이 참여해 사업 지연의 핵심 쟁점을 집중 점검했으며, 특히 법적 분쟁과 이해관계자 간의 입장 차이를 좁히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모색에 중점을 뒀다.
현재 웅동1지구 개발사업은 2003년 계획 확정 이후 22년간 표류하며 2천5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됐으나 골프장 조성 외 실질적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최근 창원시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을 상대로 제기한 행정소송 1심 패소 후 항소를 진행 중인 점, 대체 사업자 공모가 지연되며 민간 투자자들의 기대가 줄어드는 점 등이 주요 장애물로 꼽힌다. 또한 어업인 보상 부지 처리 문제와 기존 사업자에 대한 확정 투자비 산정 분쟁이 남아있어 향후 협상 과정에서 추가적인 마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경남도는 창원시의 소송 항소에 대해 "사업 정상화를 저해하는 불필요한 절차"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한 바 있다. 도의회 특위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현장 조사와 전문가 자문을 병행하며 실효성 있는 대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과거 감사원의 공익감사와 5자 협의체 운영 등이 실효를 거두지 못한 점을 고려할 때, 특위의 역할이 사업 추진의 전환점이 될지 관측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