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계현(국민의힘, 진주 4) 도의원은 경남도의회 제420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중도에 좌초된 부울경 메가시티와 달리 경남·부산 행정통합이 성공적으로 추진하려면 도민 중심, 낙후지역 발전방안 확보, 통합 농도 조절 등의 3대 원칙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유 의원은 부울경 메가시티의 경우 정치적 목적에서 하향식 정책을 출발해 도민의 공감대 확보에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급하고 무리하게 추진해 좌초됐다고 진단한 후, 경남·부산 행정통합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려면 도민 중심·낙후지역 발전방안 확보·통합 농도 조절과 같은 3대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도민 중심의 통합은 현재 경남·부산 행정통합 공론화추진위원회나 이번에 출범한 경남도의회 경남·부산 행정통합 특위와 같은 여러 의견 수렴 기구를 통해 추진되어야 한다고 했으며,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도내 낙후지역에 대한 확실한 발전 방안이 제시되어야 통합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통합이라는 결론을 미리 예정짓지 말고 통합의 농도를 조절해 지역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논의들을 함께 논의하면서 통합의 실질적 의미를 모색하자고 말했다.
끝으로 유 의원은 “경남이 발전할 때 국가도 발전했다”면서, “도민 중심의 행정통합이 경남과 국가발전의 새로운 전기가 되길 바란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유계현 경남도의원이 제안한 경남-부산 행정통합 3대 원칙은 과거 부울경 메가시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용적 접근으로 평가받는다. 지난 2022년 부울경 메가시티가 정치적 목적과 하향식 추진으로 좌초된 데 반해, 이번 원칙은 도민 참여와 지역균형을 핵심으로 삼았다. 특히 서부경남의 낙후 문제 해결 없이는 통합의 지속 가능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경남 서부권 7개 시군 중 5곳이 인구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며, 통합 논의 과정에서 이들 지역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급선무로 꼽힌다. 일본 긴키 광역연합의 경우 경제·교통 인프라 통합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며 지역 격차를 최소화한 사례를 참고해, 생활편의 시설 공동 운영 등 소규모 협력사업부터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경남도의회는 동·중·서부 권역별 분과위원회를 구성해 지역별 의견 수렴에 나섰다. 유 의원은 "통합의 최종 목표보다 과정이 중요하다"며, 도민 체감형 혜택 창출을 위한 실질적 논의를 강조했다. 한편, 내년 상반기 예정된 주민 여론조사에서 찬성율 50% 이상 확보가 관건이라는 전망도 제기되며, 향후 정책 구체화 여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