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는 1월 15일 ‘지역소멸 대응 특별위원회(이하 특위)‘ 제1차 회의를 열어 위원장에 조영제 의원(국민의힘, 함안1), 부위원장에 정쌍학 의원(국민의힘, 창원10)을 선출했다.

지난 1월 7일 구성된 특위는 1월 15일자로 10명의 위원 선임을 마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수도권 집중화 및 인구감소에 따른 경남의 지역소멸 문제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구성되었다.
위원장으로 선출된 조영제의원은 “도내 거의 모든 군지역이 고위험 소멸 지역일뿐만 아니라 창원과 같은 대도시도 최근 인구 100만명이 무너진 상황”이라며, “특위 차원에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대응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향후, 특위는 활동보고서를 채택하는 것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할 계획이다.
경남도의회 지역소멸 대응 특별위원회의 출범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인구감소 위기에 대한 지방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위는 조영제 위원장을 중심으로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1년간 활동할 예정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지역소멸 관련 실태 및 현장 조사, 정책 동향 파악 및 도민 의견 청취, 시·군 및 관계기관·연구단체·대학 등과의 협력 활동, 해외 우수사례 연구 등이 계획되어 있다.
특히 경남도는 정부가 지정한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 중 11곳(거창, 고성, 남해,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밀양)이 포함되어 있어 지역소멸 문제의 심각성이 두드러진다. 이에 특위는 농어촌 지역의 인구 유출과 저출산·고령화, 도시 지역의 원도심 공동화 등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책 마련에 주력할 방침이다.
특위 관계자는 "도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중앙정부, 학계, 민간 등과 협력하여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며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특위는 향후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경남도 전역의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