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중 경남도의원, “굴껍데기 자원화 대책 시급. 근본적 해결 촉구”

- 강성중 도의원, 경상남도의회 제421회 5분자유발언에 나서
- 통영 굴껍데기 방치로 인한 환경오염, 자원화 대책 마련 필요

경상남도의회 강성중 의원(국민의 힘, 통영1)이 제421회 경상남도의회 임시회에서 통영 지역의 굴껍데기 자원화 문제 해결과 수산부산물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 강성중 경남도의원(국민의힘, 통영1)

강 의원은 "통영시는 전국 굴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대한민국 최대의 굴 생산지임에도 불구하고, 매년 막대한 양의 굴껍데기가 적절히 처리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과 주민 고통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준공된 통영 수산부산물 자원화 시설이 적자 운영 우려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이 처리할 수 있는 용량 또한 통영에서 발생하는 굴껍데기 전체를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며 현장의 문제를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굴껍데기 자원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으로 자원화 시설의 처리 역량을 대폭 강화하고, 시설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굴껍데기를 비롯한 수산부산물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민간 기업, 연구기관, 지자체가 함께 협력하는 민·관 공동 자원화 시장을 조성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환경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굴껍데기를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재탄생시킬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과 실증 연구에 대한 지원도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굴껍데기를 비료, 건축 자재, 산업 신소재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첨단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 과학적 연구개발(R&D)과 신소재 개발을 통해 수산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산업 자원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 의원은 끝으로 "이제 우리는 환경 문제를 더 이상 미래세대에 떠넘길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굴껍데기 자원화를 포함한 친환경 정책과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 노력이 더 늦기 전에 시작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통영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열어나가야 한다"고 호소했다.


끝으로 "굴껍데기 문제 해결이 지역의 한계를 넘어 대한민국 친환경 자원순환 시스템 구축의 시발점이 될 수 있도록 모두가 함께 지혜를 모아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성중 경남도의원이 통영 굴껍데기 자원화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촉구하며, 민관 협력과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통한 수산부산물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통영은 전국 굴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산지임에도, 매년 25만 톤에 달하는 굴껍데기 중 상당량이 적절히 처리되지 못해 환경오염과 주민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160억 원이 투입된 통영 수산부산물 자원화시설이 준공돼 연간 8만 톤의 굴껍데기를 탈황원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졌지만, 전체 발생량을 감당하기엔 역부족이고, 운영 경험 부족과 수익성 불확실성 등으로 가동이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현장에서는 시설 처리 용량 확대, 안정적 운영체계 마련, 그리고 민간기업·연구기관·지자체가 함께하는 민관 공동 자원화 시장 조성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굴껍데기 자원화는 단순 폐기물 처리를 넘어, 비료·탈황제·건축자재·산업 신소재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확장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 실제로 국내외에서는 굴껍데기에서 추출한 탄산칼슘을 플라스틱 대체 소재, 화장품·기능성 식품·의약품 원료, 생분해 플라스틱 촉진제, 인공어초, 바다숲 조성 재료 등으로 활용하는 연구와 산업화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아이슬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은 어류 부산물의 95% 이상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며, 관련 스타트업과 산업 생태계를 적극 육성 중이다.


정부와 지자체도 굴껍데기 전처리시설 지원, 기술 개발 및 연구비 지원, 친환경 인증 및 품질 인증 확대, 공공조달 우선구매 등 다양한 정책적 뒷받침을 강화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27년까지 수산부산물 재활용률을 30%까지 높이고, 1,000억 원을 투자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경남포스트]김경수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