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는 20일 오전 10시 2024년 지방세‧지방행정제재‧부과금에 대한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을 도·시군 누리집, 공보, 위택스(지방세인터넷 납부 시스템) 등을 통해 공개했다.
‘명단공개 제도’는 고액·상습체납자의 인적 사항을 공개해 자진 납부를 유도하고, 사회 전반에 성숙한 납세문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행정제재로, 매년 11월 셋째 주 수요일 전국에서 동시에 실시한다.
이번 경남도의 명단공개 대상은 총 504명(지방세 442, 지방행정제재·부과금 62)이다. 올해 1월 1일 기준 1천만 원 이상의 체납액이 발생한 지 1년 이상 지난 자로서, 지난달 경상남도 지방세심의위원회 심의에서 최종 확정됐다. 지난해 공개한 570명(지방세 492, 지방행정제재·부과금 78)보다 66명이 줄어 1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납자 중 분납 등을 통해 체납액이 1천만 원 미만이거나, 체납액의 50% 이상 납부, 사망, 불복청구 중인 경우 등은 공개 대상 명단에서 제외했다.
도는 지난 3월 공개 대상자에게 명단공개 사전안내문을 발송해 6개월간 소명자료 제출 기간을 부여했고, 제출 기간 중 체납자 302명이 34억 6천만 원을 자진 납부했다.
공개 사항은 체납자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주소, 체납액 등이며, 지방세의 경우 법인은 대표자도 함께 공개하며, 행정안전부·도·시군 누리집을 비롯해 공보와 위택스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지방세’ 체납자 명단 공개자는 총 442명으로 개인 316명(92억 원), 법인 126개 업체(37억 원)이며, 체납액은 총 129억 원이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시부는 창원 128명(34억 원), 김해 84명(20억 원), 진주 45명(9억 원), 거제 39명(21억 원) 순이며, 군부는 창녕 16명(4억 원), 함안 8명(3억 원), 고성 8명(2억 원) 순으로 공개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납자의 종사 업종은 건축·부동산업이 153명(34.6%)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 109명(24.6%), 도·소매업 67명(15.1%), 서비스업 49명(11.1%)이 그 뒤를 이었다.
체납액 분포를 보면 1억 원 이하 체납자는 430명에 106억 원이며, 1억 원이 넘는 체납자는 12명에 23억 원으로 이는 공개대상자 총 체납액의 17.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지방행정제재·부과금’ 체납자 명단 공개자는 총 62명으로 개인 48명(29억 원), 법인 14개 업체(7억 원)이며, 체납액은 총 36억 원이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시부는 김해 13명(4억 원), 거제 10명(3억 원) 순이며, 군부는 합천 5명(2억 원), 창녕 5명(1억원) 순으로 공개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목별로는 과징금이 22억 원(59.4%)으로 가장 많았고, 지적재조사조정금 7억 원(19.1%), 부담금 4억 원(10.4%), 이행강제금 3억 원(6.9%) 순으로 많았다.
2018년부터 명단공개를 시작한 지방행정제재·부과금은 세외수입 중 법 위반에 대한 행정제재 성격의 과징금, 이행강제금, 부담금 등의 체납에 대해서만 조세에 준하는 체납관리로 명단공개를 한다.
서창우 경상남도 세정과장은 “고액·상습 체납자의 명단공개를 통해 자진납부 및 성실납세자가 존경받는 성숙한 납세문화를 정착하고, 납부 능력이 있음에도 고의로 재산을 은닉하고 체납액을 내지 않는 자는 모든 역량을 동원해 체납액 징수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최신기사
- 지방세 442명(129억 원), 지방행정제재·부과금 62명(36억 원)
- 20일 오전 10시, 경남도·시군 누리집, 공보, 위택스 통해 동시 공개
- 체납기간 1년 이상 경과한 1천만 원 이상의 체납자 대상
-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주소, 체납액 등 공개
박준용
다른기사보기권원만 도의원, “우리말, 국어의 소중함 잃지 말아야”
2024-11-20 14:13관련기사
Comments
최신기사
경상남도 인기기사
중요기사
창원특례시, 시민안전 시설물 집중안전점검 실시
창원특례시는 오는 4월 14일부터 6월 13일까지 61일간 ‘집중 안전점검’을 실시해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이번 점검 대상은 체육시설, 문화시설, 복지시설...
최수은 기자 2025-04-18
강성중 경남도의원, “굴껍데기 자원화 대책 시급. 근본적 해결 촉구”
경상남도의회 강성중 의원(국민의 힘, 통영1)이 제421회 경상남도의회 임시회에서 통영 지역의 굴껍데기 자원화 문제 해결과 수산부산물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
김경수 기자 2025-04-18
도시발전연구회, 구도심 단독주택단지 ‘뉴빌리지’ 모색
창원특례시의회 도시발전연구회(대표의원 김경수)는 상대적으로 점차 더 열악해지는 구도심 지역 단독주택단지의 주거환경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활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창원...
황아진 기자 2025-04-16
창원특례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한도 ‘상향’ 조정
창원특례시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과 임차인 부담 경감을 위해 시행 중인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에 대한 지원액 한도를 기존 최대 30만 원에서 최대 40만 원으로 상향...
최수은 기자 2025-04-16
경남도의회 교육위원회, 18개 교육지원청 주요업무계획 점검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이찬호)는 제2차 회의를 열고, 도내 18개 시·군 교육지원청의 주요업무계획을 보고받은 후 현안 질의를 진행했다.▲ 제2차 시.군 교육지원청 주요업무...
최주원 기자 2025-04-16
기획행정위, 진해지역 관광 시설 현장 점검
창원특례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박선애)는 지난 8일 진해해양레포츠센터와 제황산모노레일을 방문해 시설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창원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현장견학 단체사진위원...
한주희 기자 2025-04-15
창원특례시, 행안부 ‘대규모 판매시설 주소 세분화 사업’ 최종 선정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대규모 판매시설 주소 세분화 사업에 마산어시장이 최종 선정됐다.▲ 마산어시장 입구마산어시장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수산물 시장으로, 많은 지역...
이원욱 기자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