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ㆍ여수시의 최초 삼도수군통제영 한산도에 대한 역사 왜곡 행위 중단과 재발방지를 위해 경상남도와 국가유산청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7일 경남도의회에서 열린 제42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자유발언에서 김태규 도의원(국민의힘, 통영2)은 “전라남도의회와 여수시의회, 일부 시민단체에서 전라좌수영인 여수가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라 주장하며 ‘역사바로잡기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여 정부에 건의하고, 시민단체 주관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역사 왜곡 행위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며, 최초 삼도수군통제영 한산도에 대한 역사 왜곡 행위를 강력히 규탄하고, 경남도와 국가유산청의 신속한 대응을 촉구했다.
한산도가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란 사실은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등 역사서 고증을 통해 확인된 사항으로 국가유산청 누리집 ‘국가유산포털’에도 한산도가 최초의 통제영이라고 명시하고 있으며‘임진왜란기 한산도 통제영에 관한 연구’ 등 각종 연구논문에도 잘 나타나 있다.
김태규 의원은 “역사는 객관적인 사실과 사료에 기반해야 함에도 전라남도와 여수시는 전라좌수영 복원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여수가 최초의 통제영이라 홍보하여 지역의 명예를 높이고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내려한다”며, “한산도를 전라좌수영의 전진기지라고 역사를 왜곡한 주장을 즉각 철회하고, 경남도민과 통영시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엄중히 경고했다.
또한 김 의원은 역사 왜곡에 대한 경상남도와 국가유산청의 안일한 대응을 지적하면서 “전라남도와 여수시의 역사 왜곡 행위를 즉시 중단시키고 신속한 재발방지대책 마련하는 한편,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 한산도의 역사적 가치를 더욱 널리 알리고 유적의 보존과 발굴, 조사 및 연구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이충무공전서』에는 "1593년 8월 한산도에 통제영이 최초로 설치되고,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주관했다"는 내용이 다수 실려 있다. 또한 박홍미의 '두룡포기사비'에도 최초의 통제영이 한산도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송시열의 '통제영충렬사기'에도 통제영이 한산도에 처음 설치되었다는 내용이 있다.
여수시 측은 1593년 8월 선조가 이순신에게 내린 교서에 '전라좌수사 본직에 더하여 삼도수군통제사를 겸하게 했다'는 내용이 있다. 이를 근거로 전라좌수사의 본영인 여수가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이순신이 한산도에서 교서를 받았을 뿐, 실제 본영은 여수였다고 해석한다.
다만 역사학자들은 이순신과 선조가 통제사가 있는 한산도를 '해영'으로 칭했다는 점, 현존하는 임진왜란 사료와 근현대 고증자료에 대부분 '한산도는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여수시가 지나치게 지역이기주의적 향토사학에 취해있음을 지적한다.
또한 한산도에 통제영이 설치된 것은 전라좌수영이 서쪽에 치우쳐 있어 왜적의 해상 침입을 직접 방어하기 어렵다는 이순신의 건의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도 있다. 따라서 여수는 전라좌수영의 본영이고, 한산도는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라는 것이 가장 정확한 해석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