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는 교통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창원시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2026~2030)수립’ 용역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계획은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도시 교통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계획 기간은 변화된 도시 여건을 반영하여 2026년에서 2030년으로 설정했다.
시는 용역추진을 위해 지난 3월 사업수행능력평가(PQ) 접수를 공고하였고, 4월에 적격심사 평가를 통해 사업수행능력 적격업체 선정을 완료하였으며, 5월에는 조달청 공개경쟁 입찰을 거쳐 용역 수행사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용역기간은 5월에 시작하여 18개월간이며, 용역안에는 국가 상위계획과 연계하여 새로운 도시교통의 방향과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도시교통정비안을 담을 계획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광역교통네트워크 구축 △통합교통운영체계 구축 △환경친화적 교통체계 구축 △교통운영체계의 첨단화 등 4개 분야에 대해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필요 예산 산출, 투자 우선순위, 재원 조달계획 및 방안 등이 포함된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이번 도시교통정비중기계획은 교통 편의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핵심 계획으로, 창원시 미래 교통 청사진이 될 것”이라며, “교통여건 변화와 시민 수요를 반영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창원특례시가 2026~2030년을 목표로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이 계획은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창원시 교통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급변하는 도시 여건과 교통수요, 국가 상위계획을 반영해 미래 교통체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중기계획은 2025년 5월부터 18개월간 용역을 통해 마련된다. 시는 사업수행능력평가(PQ)와 적격심사를 거쳐 조달청 공개경쟁입찰로 용역사를 선정했으며, 교통정책과를 중심으로 광역교통네트워크, 통합교통운영체계, 환경친화적 교통체계, 교통운영체계 첨단화 등 4개 분야에 대한 세부 실행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요 추진 방향은 광역철도·BRT 등 대중교통 연계 강화, 도심-외곽 간 교통망 확충, 스마트 신호체계와 통합관제 등 첨단 ITS 도입, 친환경 교통수단(전기·수소버스, 자전거 등) 확대, 교통약자·보행자 중심 환경 조성, 교통안전시설 확충, 투자 우선순위 및 재원 조달방안 마련 등이다. 시는 50억 원을 투입해 예방적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고, 선제적 교통환경 개선계획 수립 등으로 시민 삶의 질 제고와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계획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 확장에 그치지 않고, 국가 및 지방 전략과 조화를 이루는 체계적·지속가능한 교통정책 수립에 방점이 찍혀 있다. 창원시는 시민 의견수렴, 전문가 자문, 상위계획과의 연계성 강화 등 다각적 접근을 통해, 미래 도시교통의 청사진을 마련하고 도시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