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 소속 박동철(국민의힘, 창원14) 의원이 전국 지자체 최초로 대표 발의한「경상남도교육청 미래형 교육시설 조성 조례」제정안이 12월 2일제419회 정례회 제4차 교육위원회에서 원안 통과되었다.
박동철 의원은 “학령인구 감소, 도심지 공동화 현상 등 시대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노후 건축 개축 및 학교 시설‧이전 사업 등의 수요가 매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조례 제정은 미래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 활동을 지원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공간과 학생 중심의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조례안에는 ▲미래형 교육시설 조성 시 고려사항 ▲효율적 추진을 위한 4개년 기본계획 수립 ▲자문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문위원회 설치 ▲총괄 자문가의 역할 및자격 등에 대한 규정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저탄소, 친환경, 생태학교 중점 시설조성 ▲지역의 거점시설로 개방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의 사항이 담겨 있다.
현재 교육부는 2021년부터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40년 이상 경과된 노후 학교 건물을 미래형 교육시설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특징은 유연한 학습공간, 디지털 기반 스마트교실, 제로에너지 친환경 학교, 지역사회와 연계된 복합화 시설 등이다.
미래형 교육시설의 도입 사례로 서울 창덕여자중학교가 있다. 이 학교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균형을 추구하는 미래학교의 철학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재구성되었다. 또한 경기도 동탄중앙초등학교의 '동탄중앙이음터'는 학교와 지역사회 시설을 복합화한 사례로, ICT실, 도서관, 공동육아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상남도 역시 미래형 교육시설로 경상남도교육청 미래교육원을 설치했다. 2023년 3월 1일 개원한 이 시설은 초·중·고 학생 대상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로봇 코딩 수업 등 디지털 교육 콘텐츠와 지역 연계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교육 플랫폼인 '아이톡톡'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경남도의 미래형 교육시설 도입은 더딘 편인데, 특히 예산 부족으로 인해 대규모 시설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다. 노후화된 학교 건물이 많아 전면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이를 한 번에 추진하기 어렵다. 지역별 교육 여건 격차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미래형 교육시설 도입이 더딘 편이다.
경상남도는 향후 생태학교 외에도 해양 도시의 특성을 살린 해양 교육 특화 시설, 농촌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팜 연계 교육 시설, 산업 단지 인근 학교의 지역 산업 연계 직업 교육 시설, 역사 문화 자원이 풍부한 지역의 체험형 역사 교육 시설 등도 설치할 수 있어 전환에 대한 특화조성은 대체로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의원은 도의회 경남교육발전연구회의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경남의 미래형모델학교와 지속가능한 교육혁신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해왔으며, 학교복합시설 설치․운영, 학교시설이용의 활성화 등을 제안하면서 지역사회와 학교가 연계될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